🏃♂️ 넘어지면서 손을 짚었을 때, 팔꿈치에 강한 충격을 받았을 때, 팔이 저리거나 힘이 빠지는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런 증상은 위팔뼈(humerus) 부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위팔뼈는 어깨에서 팔꿈치까지 이어지는 긴 뼈로, 팔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여러 근육과 신경이 지나가는 경로이기 때문에 골절이 발생하면 신경 손상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은 위팔뼈의 구조와 기능, 골절 유형과 신경 손상에 대해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1️⃣ 위팔뼈의 구조 및 특징
🔍 위팔뼈는 상완을 이루는 유일한 뼈로, 팔의 움직임과 관절 기능을 담당합니다. 위팔뼈는 길고 강한 뼈이지만 외부 충격에 의해 골절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정 부위에서는 신경이 손상될 위험이 높습니다.
📍 주요 구조
- 머리(head): 어깨뼈 관절오목(glenoid cavity)과 만나 어깨관절 형성
- 해부목(anatomical neck): 위팔뼈머리와 몸통 사이의 경계
- 수술목(surgical neck): 해부목 아래 부분으로, 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위
- 큰결절(greater tubercle), 작은결절(lesser tubercle): 돌림근띠(rotator cuff) 근육 부착점
- 위팔뼈몸통(humeral shaft): 길고 단단한 중간 부분
- 가쪽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 안쪽위관절융기(medial epicondyle): 팔꿈치 주변 근육 부착점
👉 이제 위팔뼈의 구조를 알았으니, 어떤 근육과 인대가 부착되는지 살펴볼까요?
2️⃣ 위팔뼈의 근육 및 인대 부착점
🤔 “위팔뼈에는 어떤 근육과 인대가 붙어 있을까?”
📍 근육 부착점
- 시작점(origin):
-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 → 긴갈래(long head) - 어깨뼈위결절(supraglenoid tubercle), 짧은갈래(short head) - 부리돌기(coracoid process)
-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 긴갈래(long head) - 어깨뼈아래결절(infraglenoid tubercle)
- 위팔근(brachialis) → 위팔뼈몸통 중간지점
- 닿는곳(insertion):
- 가시위근(supraspinatus),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작은원근(teres minor) → 큰결절(greater tubercle)
- 어깨밑근(subscapularis) → 작은결절(lesser tubercle)
📍 인대 부착점
- 위팔노근(humeroradial ligament)
- 위팔자근(humeroulnar ligament)
- 팔꿈치측부인대(collateral ligaments of elbow joint)

3️⃣ 위팔뼈의 기능 및 역할
✅ 팔과 어깨를 연결하는 상지의 주요 뼈
✅ 근육과 인대가 부착되어 팔의 구부림, 폄, 회전 운동 조절
✅ 신경과 혈관이 통과하는 경로 제공
👉 위팔뼈는 팔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고, 상체와 연결되는 중요한 구조입니다.
4️⃣ 위팔뼈 골절 및 신경 손상
⚠️ 운동 중 낙상, 교통사고, 강한 충격 등으로 인해 위팔뼈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골절 유형
- 수술목 골절(surgical neck fracture): 노신경(radial nerve) 손상 위험
- 위팔뼈몸통 골절(humeral shaft fracture): 노신경(radial nerve) 손상, 손목처짐(wrist drop) 유발 가능
- 위팔뼈위관절융기 골절(supracondylar fracture): 정중신경(median nerve) 또는 자신경(ulnar nerve) 손상 가능
📍 골절 시 증상 및 치료 방법
✅ 팔의 움직임 제한, 심한 통증, 부종, 기형
✅ X-ray 촬영 후 골절 상태 확인
✅ 치료 방법: 보존적 치료(깁스, 고정) 또는 수술적 치료(핀, 플레이트 고정술)
👉 위팔뼈 골절은 신경 손상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FAQ)
✅ Q1. 위팔뼈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A. 수술목(surgical neck)과 위팔뼈몸통(humeral shaft)에서 골절이 가장 흔합니다.
✅ Q2. 위팔뼈 골절 시 어떤 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나요?
A. 노신경(radial nerve)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으며, 손목처짐(wrist drop)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Q3. 위팔뼈 골절 후 회복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 보통 6~12주가 걸리며, 수술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결론: 위팔뼈는 상지의 중심!
위팔뼈는 팔과 어깨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근육과 인대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골절이 발생하면 신경 손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운동 중 부상 예방이 필수적입니다.
📢 그렇다면 위팔뼈와 함께 팔꿈치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뼈는 무엇일까요? 바로 ‘자뼈(ulna)와 노뼈(radius)’입니다! 다음 편에서 더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뼈 해부학 5탄: 척추(Vertebral Column) 해부학 🦴 (0) | 2025.03.19 |
---|---|
🦴 뼈 해부학 4탄-2 위팔뼈(humerus) 심화편: 골절과 신경 손상 완벽 분석 (0) | 2025.03.17 |
✨ 뼈 해부학 3탄: 어깨뼈(Scapula) 완벽 정리 (0) | 2025.03.12 |
뼈 해부학 2탄: 빗장뼈(clavicle) 🦴 (0) | 2025.03.10 |
1탄 뼈 해부학: 해부학적 용어와 뼈대 개요 🦴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