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상예방 9

🦴 뼈 해부학 4탄-2 위팔뼈(humerus) 심화편: 골절과 신경 손상 완벽 분석

위팔뼈(humerus)는 어깨부터 팔꿈치까지 연결되는 상완골로, 팔의 움직임과 신경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위팔뼈의 세부 구조를 심층 분석하고, 골절 및 신경 손상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위팔뼈의 핵심 구조✅ 위팔뼈 앞쪽(Anterior) 구조위팔뼈머리(head of humerus): 어깨관절을 형성하는 둥근 관절면해부목(anatomical neck): 관절낭과 연결되는 경계 부위수술목(surgical neck): 골절이 흔하게 발생하는 부위, 노신경(radial nerve) 손상 가능성 높음큰결절(greater tubercle): 회전근개(rotator cuff) 근육이 부착되는 부위작은결절(lesser tubercle): 어깨밑근(subscapula..

해부학 2025.03.17

1탄 뼈 해부학: 해부학적 용어와 뼈대 개요 🦴

뼈는 단순한 구조물이 아닙니다. 신체를 지탱하고, 보호하며,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우리는 왜 뼈의 구조를 알아야 할까요? 일상생활 속 움직임, 운동, 부상 예방을 위해 뼈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뼈의 기능, 해부학적 용어, 그리고 몸통뼈대(axial skeleton)와 팔다리뼈대(appendicular skeleton)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1️⃣ 뼈(bone)의 기능뼈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조직입니다.지지(support): 신체 구조를 유지하고 근육이 부착될 수 있는 틀 제공보호(protection): 두개골(skull)이 뇌를 보호하고, 갈비뼈(ribs)가 폐와 심장을 보호운동(movement): 근육과 관절의 작용을 통해 움직..

해부학 2025.03.07

💡 근육통 관련 질환, 주의해야 할 증상과 예방 및 치료법

운동 후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근육통은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근육 손상, 신경 문제, 만성 질환 등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지속적인 근육통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근육통과 관련된 주요 질환과 경고 신호를 살펴보겠습니다.1️⃣ 일반적인 근육통 vs. 위험한 근육통✅ 일반적인 근육통 (DOMS: 지연성 근육통)운동 후 24~72시간 이내 발생특정 부위에 뻐근한 통증과 뻣뻣함적절한 휴식과 스트레칭으로 회복 가능❌ 주의해야 할 근육통통증이 1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짐특정 근육이 붓거나 멍이 생김근력 저하, 마비, 감각 이상 동반열, 오한, 전신 피로감 동반💡 핵심 포인트: 단순 근육 피로인지, 심각한 문제인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2️⃣ 근..

건강 2025.03.05

🎯 7탄: 전체 정리 및 응용 – 운동과 연결, 부상 예방, 근육 기능 총정리

📌 1. 들어가며: 근육 시스템의 종합적인 이해이제까지 총 6탄에 걸쳐 인체의 주요 근육과 기능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마지막 7탄에서는 전체 근육계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운동 및 재활과 연결하는 방법, 그리고 근육 기능을 최적화하는 전략을 소개합니다.📌 2. 운동과 근육: 부위별 활성화 전략운동은 단순히 특정 근육을 단련하는 것 이상으로, 근육 간의 협응과 기능적 움직임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지 근육과 운동이두근 & 삼두근: 팔굽혀펴기, 친업, 덤벨 컬삼각근: 숄더 프레스, 레터럴 레이즈전완근: 손목 컬, 리버스 컬✅ 흉부 및 복부 근육과 운동대흉근: 벤치프레스, 딥스, 푸쉬업복직근 & 외복사근: 크런치, 레그레이즈, 러시안 트위스트✅ 등 및 허리 근육과 운동광배근 & 승모근: 풀업,..

해부학 2025.03.04

🏋️‍♂️ 근골격계 해부학 6탄: 하지 근육 –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둔근 및 종아리 근육 운동 루틴 및 부상 예방

🔎 하지 근육이 중요한 이유하지 근육은 걷기, 뛰기, 점프 등 다양한 움직임을 담당하며, 균형 유지, 관절 안정성, 신체 지지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하체 근력이 부족하면 운동 수행 능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부상의 위험도 커지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1️⃣ 대퇴사두근 (Quadriceps)✅ 위치 및 기능대퇴사두근은 허벅지 앞쪽에 위치한 네 개의 근육(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으로 구성됩니다.기능: 무릎 신전(펴기), 고관절 굴곡(앞으로 당기기)✅ 관련 운동스쿼트(Squat)레그 프레스(Leg Press)런지(Lunge)✅ 부상 예방 및 관리정기적인 대퇴사두근 스트레칭(쿼드 스트레치)무릎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운동 자세 유지2️⃣ 햄스트링 (Hamstrings)..

해부학 2025.02.28

🏋️ 근골격계 해부학 4탄: 흉부와 복부 근육 완벽 정리

📌 1. 흉부와 복부 근육이 중요한 이유흉부와 복부 근육은 호흡, 자세 유지, 상체 안정성 및 운동 수행 능력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대흉근,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횡격막 등은 상체 근육의 중심 역할을 하며, 전신 운동과 코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이 글에서는 흉부와 복부 근육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운동 및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2. 흉부 근육 (Chest Muscles)흉부 근육은 상체의 움직임과 호흡을 담당하며, 특히 대흉근과 소흉근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대흉근 (Pectoralis Major)상부 (Clavicular Head): 팔을 위로 올리고 안쪽으로 모으는 역할중부 (Sternal Head): 팔을 가슴 중앙으로 모으는 역할하부 (Abdominal ..

해부학 2025.02.24

💪 근골격계 해부학 3탄: 어깨와 상지 근육 완벽 정리

📌 1. 어깨와 상지 근육이 중요한 이유어깨와 팔 근육은 상체 운동의 핵심이며, 일상적인 움직임부터 웨이트 트레이닝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특히 삼각근, 이두근, 삼두근, 전완근 등은 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부상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이 글에서는 어깨와 상지 근육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운동 및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2. 어깨 근육 (Shoulder Muscles)어깨는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그 중심에는 삼각근(Deltoid) 과 회전근개(Rotator Cuff) 가 있습니다.🔹 삼각근 (Deltoid Muscle)앞(전면) 삼각근: 팔을 앞으로 들어 올리는 역할중간(측면) 삼각근: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역할뒤(후면) 삼각근: 팔을 뒤로 움직이는 역할💡..

해부학 2025.02.20

🧠 근골격계 해부학 2탄: 머리, 얼굴, 목 근육 완벽 정리

📌 1. 머리, 얼굴, 목 근육을 이해하는 이유머리, 얼굴, 목의 근육은 표정, 저작(씹기), 호흡, 자세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목 근육은 상체와 연결되어 자세 교정, 통증 예방, 운동 퍼포먼스 향상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이 글에서는 머리, 얼굴, 목 근육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운동 및 관리법을 소개합니다.📌 2. 머리와 얼굴 근육 (Facial Muscles)머리와 얼굴 근육은 표정근과 저작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표정근 (Facial Expression Muscles)전두근 (Frontalis Muscle): 이마 주름을 만들고 눈썹을 올리는 역할안륜근 (Orbicularis Oculi): 눈을 감고 깜빡이는 기능 수행구륜근 (Orbicularis Oris)..

해부학 2025.02.19

🦴 근골격계 해부학 1탄: 해부학적 용어와 시스템 개요

📌 1. 해부학적 용어의 기본 개념해부학에서는 인체의 구조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표준화된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근육, 뼈, 관절의 위치와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서 있는 상태에서 팔을 몸 옆으로 내리고 손바닥이 앞을 향한 자세모든 해부학적 용어는 이 기본 자세를 기준으로 함📍 방향 용어(Directional Terms)전면(Anterior) / 후면(Posterior): 몸의 앞쪽 / 뒤쪽상부(Superior) / 하부(Inferior): 머리 방향 / 발 방향내측(Medial) / 외측(Lateral): 몸 중심선에 가까운 / 먼근위(Proximal) / 원위(Distal): 몸통에 가까운 / 먼(주로 사지에 사용)..

해부학 2025.02.18
반응형